대한민국의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이 이토록 강했던가요? 정말 좋은 경기를 했습니다. A조 1위로 16강에 올라온 FIFA 랭킹 16위의 우루과이를 전후반 내내 거의 압도하는 경기를 펼쳤지요. 결과적으로 패했을 뿐, 경기 내용상으로는 우루과이보다 더 잘했다고 할 수 있는 시합이었습니다.
경기가 끝이 난 후, 허정무 감독을 비롯해 우리 선수들이 우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눈물이 날 만도 하지요. 최선을 다해 상대방을 압도하는 경기를 펼쳤는데도 지고 말았으니, 그 억울함과 원통함 때문에 눈물이 흐를 수밖에 없었을 겁니다.
최선을 다했으니 후회는 없다?
글쎄요, 전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최선을 다했기에 오히려 후회가 남는 것 아닐까요? 최선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패했으니 눈물이 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충분히 이길 수 있는 경기였는데도 아쉽게 승리를 확정 짓는 골을 넣지 못해서 졌기 때문에, 그 안타까움과 아쉬움이 더욱 짙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후회라는 것은 ‘최선을 다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권리라고 전 생각합니다. 최선을 다하지 않은 사람은 후회를 할 자격도 없지요. 무언가에 몰두하여 자신의 모든 것을 다 쏟아 부은 사람만이 그 결과가 원하는 대로 나오지 않았을 때, 거기에 아쉬워하며 눈물을 흘릴 자격이 있다고 전 생각합니다.
그런 면에서 허정무 감독을 비롯한 우리나라 대표팀 선수들은 눈물을 흘릴 자격이 있습니다. 그럴 만한 경기력을 보여주었으니까요. 그리고 그 눈물은 더욱 강해지기 위한 과정이라고 봅니다. 우리가 ‘진정한 강함’을 손에 넣었었더라면, 이렇게까지 좋은 경기를 하고도 지는 일은 없었을 테니까요.
잠시 야구 이야기로 넘어가 볼까 합니다. SK 와이번스의 김성근 감독이 ‘명장’이란 수식어를 넘어 ‘야신’이라 불리는 건 도저히 불가능한 시합에서 기적 같은 승리를 거두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 아닙니다. 어디까지나 ‘이길 수 있는 시합’에서 철저하게 그 승리를 쟁취해내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그런 칭호를 얻고 있는 것이지요. 적어도 그 분은 ‘내용에선 이겼는데, 결과는 패한 시합’은 어지간하면 하지 않습니다.
강팀이 갖추어야 할 첫 번째 조건이 바로 그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내용에서 이겼다면, 그것을 결과로도 나타내 승리를 쟁취할 수 있는 힘. 이제 우리나라 축구 대표팀이 손에 넣기 위해 노력해야 할 부분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전 이것이 결코 ‘과한 욕심’이라 생각지 않습니다. 우리 축구의 위상이 이제 그 정도는 되지 않나 생각하기 때문이죠.
2002년 월드컵에서 우리가 4강에 진출했을 때, 세계의 반응은 냉담했습니다. ‘안방론’과 ‘편파 판정에 의한 결과’라는 말들이 쏟아져 나왔지요. 사실 국내의 팬들 역시도 “우리가 살아 생전에 언제 또 한국 대표팀이 월드컵 4강에 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겠느냐”는 말들을 자주 하고 다녔습니다. 그 만큼 당시 대표팀의 선전은 놀라운 면이 있었고, 그때만 하더라도 우리 대표팀의 강함을 피부로 느끼지는 못했었지요.
하지만 대표팀의 종착역은 거기가 끝이 아니었습니다. 비록 16강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는 ‘원정 첫 승’을 거두는 등 1승 1무 1패의 기록을 남겼습니다. 당시에는 아쉽게 16강에 올라가지 못했지만, 이번에는 동일한 성적을 내고도 조 2위로 16강에 올랐습니다. ‘원정 첫 16강 진출’을 달성했지요.
16강 진출에만 성공하면 8강이나 그 이상을 목표로 할 수도 있었던 그리스와 나이지리아는 우리나라에 밀려 탈락하고 말았습니다. 남미의 강호라는 우루과이도 한국 대표팀을 만나 진땀을 흘려야만 했지요. 이제 우리나라 축구는 더 이상 약하지 않습니다.
2006년 제1회 WBC에서 한국 야구 대표팀이 미국 등을 꺾고 4강에 올랐을 때, 우리 언론부터가 ‘신화’라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그 해 아시안게임에서 실패를 겪는 바람에 역시 그 때의 선전은 일시적인 우연이었나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했지요.
하지만 한국 야구 대표팀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9전 전승으로 금메달을 따냈고, 2009년 제2회 WBC에서는 전 대회보다 한 단계 높은 결승까지 진출해 준우승을 차지했습니다. 그리고 그 후 선수들 스스로는 물론, 국민들 역시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국 야구는 세계 정상권이다”라는 자부심을 스스로 느끼게 된 것이지요.
축구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는 7연속 월드컵에 진출한 국가입니다. 특히 지난 3번의 대회에서는 합계 5승 4무 5패의 성적을 기록, 4강과 16강에 각각 한 번씩 진출하는 성과를 냈습니다. 월드컵에서 이만한 성적을 낸 팀이 과연 얼마나 될까요?
우리는 월드컵이 열릴 때마다 10위권 밖의 FIFA 랭킹이 얼마나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인지를 깨닫곤 합니다. 세계 최정상권에 있는 일부 팀을 제외하면, 반드시 랭킹과 경기력이 비례하는 것은 아니었지요. 이번에 우리가 가볍게 2-0으로 꺾은 그리스의 랭킹은 13위였고, 우리에게 경기력에서 확실하게 밀렸던 우루과이는 16위였습니다.
언제나 우리는 도전자의 입장에서 월드컵을 맞이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우리들 스스로가 강팀이라는 자각을 하고 좀 더 높은 곳을 목표로 하는 것은 어떨까요. 이번에도 ‘1차적인 목표’라는 말을 사용하긴 했지만, 실제로는 16강 진출이 ‘최종 목표’이자 우리 대표팀의 ‘한계’처럼 표현되고 있다는 느낌을 자주 받았습니다. 어쩌면 우리나라 대표팀의 수준을 가장 과소평가하고 있었던 것은 우리들 자신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되더군요.
이제는 욕심을 좀 부려봤으면 좋겠습니다. 좀 더 높은 목표를 잡고, 진정한 강팀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거쳤으면 싶습니다. 물론 목표와 기대가 크면 실패했을 때의 실망도 그만큼 큰 법이지요. 하지만 그렇다고 언제까지나 16강이 목표일 순 없는 것 아니겠습니까. 더 큰 실망을 하게 되는 한이 있더라도, 좀 더 멀리 내다보고 좀 더 강한 팀이 되도록 포부를 가져봤으면 하는 맘입니다.
우리나라는 1986년에 32년 만에 월드컵에 진출하여 16강 진출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그리고 4번의 실패를 겪은 후 16년 후인 2002년에 그 목표를 달성했지요. 그리고 이번에는 원정 첫 16강 진출을 달성했습니다. 적어도 월드컵을 기준으로 하여 지난 3번의 대회에서 우리나라 이상의 성적을 거둔 팀은 10팀이 채 되지 않습니다. 일단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대회에서 우리나라는 10위권에 들만한 성적을 실제로 냈다는 뜻이지요.
그렇다면 이제부터는 미친 척하고 ‘우승’이라는 목표를 세워도 되지 않을까요? 당장은 무리겠지만 16년 후, 혹은 32년 후쯤에는 진짜 우승을 할 수 있는 축구 강국이 될 지 누가 아나요. 꿈은 크게 가질수록 좋다고 하지 않던가요.
대한민국 축구 국가 대표팀 여러분, 그리고 팬 여러분, 이제는 ‘야먕’을 한 번 가져 봅시다. 남들이 비웃건 말건, 관계 없습니다. 꿈은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단, 그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꿈이 이루어질 것을 믿는 것’이 그 첫 번째 단계라는 것을 잊어서는 곤란합니다.
지난 보름 동안 좋은 꿈을 꾸게 해준 대표팀과 모든 관계자 분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 카이져 김홍석
아래 손가락 모양의 추천 버튼을 눌려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