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조금 내릴 것도 같은 하늘이었다. 우산을 챙겨가지 않았던 그날 오후에는, 카페에 앉아 태풍의 간접 영향권에 들었다는 뉴스를 들으며 창밖으로 세차게 날리는 가로수만 하염없이 바라보고 있었다. 그 때 정우성과 고원원의 인터뷰가 눈에 들어온다. 그래서 우연처럼 <호우시절>을 보았다.
두 주인공이 서로의 사랑을 향해 채 닫기도 전에 청두는 그 이면에 있던 상처들을 드러낸다. 밝고 씩씩한 모습으로 살아가던 여 주인공은 쓰촨성 지진으로 남편을 잃었다. 새로운 사랑 앞에서도 지난 상처들은 그녀가 맞았던 비처럼 가혹하게 스며든다. 남편의 기일에 재단 앞에서 오열하던 여주인공의 모습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그 상처를 계속 안고 살아가야만 하는 중국인들의 아픔이 베어 나왔다.
<호우시절>은 원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청두’라는 세 편의 에피소드를 담았을 <청두, 사랑해>의 ‘현재’에 들어갈 영화였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현재의 이야기가 빠진 <청두, 사랑해> 속의 청두의 모습은 <호우시절>에서 보았던 모습과는 다르게 어딘가가 낯설다.
2029년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미래의 청두에서 여주인공 먀오먀오는 삼바드럼을 치며 등장한다. 먀오먀오는 2008년 쓰촨성 지진 때 한 소년의 도움으로 살아나 성장한 여인이다. 그리고 그녀를 구해주었던 소년은 지진으로 가족을 잃고, 그 외로움을 무예로 달래며 성장한 청년 리하오였다.
또 하나의 이야기는 1976년 당산 대지진이 있었던 해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과거의 청두 이야기는 다예(茶艺)라는 우리에게는 조금 생소한 문화를 통해 이야기를 풀어간다.
세 명의 감독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많은 사람들에게 전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영화 속의 주인공들이 만들어내는 사랑의 모습과 닮아있다. 더불어 <청두, 사랑해>를 보기 전에 <호우시절>도 함께 본다면 조금은 더 영화가 전하고자 했던 바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비록 우리와 문화가 다르고, 그 배경에 깔린 아픔을 완전히 알지 못하기에 언뜻 영화가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영화들을 통해 아직은 낯선 내 이웃들의 상처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사진=PIFF 홈페이지]
// PIFF Reporter K.J.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