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09

이승엽-김태균, 그리고 연봉 10억 시대 연봉 10억대. 평범한 서민들에게 그야말로 꿈의 금액이다. 억대 몸값이 익숙한 스타급 프로선수들에게도 국내 시장에서 1년에 연봉 15억이라는 숫자는 쉽게 상상조차 할 수 없는 금액이다. 그런데 이제는 옵션이 걸리지 않은 순수연봉만 15억을 받는 선수가 생겼다는 점은 한국프로스포츠에 놀라운 충격이다. 한화는 12일 오전 일본서 복귀한 김태균과 연봉 15억원에 계약을 체결한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김태균의 파격적인 최고연봉대우는, 야구를 포함하여 달라진 국내 프로스포츠 시장의 규모와 스타파워의 가치를 보여준다. 역대 프로야구 최고연봉은 지난 2004년 삼성으로 이적한 심정수가 받은 7억5,000만원이었다. 그 다음은 공식적으로 프로농구 김주성(동부)이 2008~2009시즌 받은 7억1,000만원이 최고다. .. 2011. 12. 12.
골든글러브 시상식, 수상자 선정 기준은? 11일(일)이면 올 시즌을 빛낸 프로야구 포지션별 최고의 선수들이 선정된다. 이미 10개 포지션별로 총 34명의 골든글러브 후보자가 발표된 상황이고, 그들 중 10명만이 금빛으로 번쩍이는 ‘황금장갑’을 손에 넣을 수 있다. 올 시즌은 유난히 수상자를 가리기 어려운 포지션이 많다. 물론 투수(윤석민)와 1루수(이대호), 그리고 외야수 한자리(최형우) 정도는 100%라고 장담할 수 있고, 3루수 역시 타격과 수비에서 고르게 좋은 성적을 거둔 최정의 수상이 유력시 되고 있다. 그러나 나머지 6개 포지션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저마다의 호불호가 갈린다. 포수 부문은 강민호-양의지, 2루수는 안치홍-오재원, 지명타자는 김동주-홍성흔이 치열한 2파전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외야는 손아섭-이병규-이용규-전준우-김현수.. 2011. 12. 10.
김성근 감독과 고양 원더스의 작지만 큰 출발! 모두가 예상하지 못한 선택이었다. 야인으로 머물던 ‘야신’ 김성근 감독이 이제 막 출범하는, 그것도 프로야구단도 아닌 독립야구단 초대 감독으로 취임할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많은 이들이 고양의 영입추진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시나리오라고 치부했지만, 지난 5일 김성근 감독의 고양행 발표로 꿈은 현실이 되었다. 재일교포 출신인 김성근 감독은 일본 교토에서 태어나 가난한 유년시절과 이방인에 대한 텃세를 극복하고 오직 야구에 대한 열정 하나로 이 자리까지 달려온 잡초 같은 근성의 화신이다. 1983년 OB 베어스를 시작으로 태평양, 쌍방울, LG, SK 등 여러 프로구단 감독을 거쳤고, 맡은 팀마다 강팀으로 환골탈태시키는 지도력을 보였지만, 항상 구단과의 마찰로 경질되는 등 마무리가.. 2011. 12. 8.
골든글러브 시상식이 12월 11일인 이유는? 2011년은 한국 프로야구사에 있어 매우 큰 의미가 있는 한 해로 기억될 전망이다. 1982년에 출범한 한국 프로야구가 30년째를 맞이한 해였고, 때마침 사상 최초로 600만 관중을 돌파하며 ‘국민스포츠’로서의 입지를 더욱 돈독이 할 수 있었다. 총 누적관중은 680만명이 넘어섰으니, 이만하면 내년에는 700만 관중을 노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게 프로야구가 최고의 인기를 구가할 수 있었던 것은 선수들의 파이팅 넘치는 플레이가 팬들에게 어필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올 시즌의 프로야구를 빛낸 각 포지션별 최고의 선수를 가리는 ‘골든글러브 시상식’이 12월 11일 서울 대치동 SETEC 제1전시장에서 열릴 예정이다. 시상식이 열리는 12월 11일은 일요일이다. 왜 하필이면 공휴일에 시상식이 열리는 것일까? .. 2011. 12. 7.